포르투갈령 티모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르투갈령 티모르는 1515년 포르투갈인들이 티모르 섬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702년 포르투갈 식민지로 편입되었다. 1859년 리스본 조약을 통해 네덜란드령 동인도와의 경계가 확정되었고, 1916년 헤이그에서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1974년 카네이션 혁명 이후 독립을 추진했으나, 1975년 인도네시아의 침공으로 점령당했다. 2002년 5월 20일 공식적으로 독립하기 전까지, 포르투갈령 티모르 파타카와 에스쿠도가 통화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포르투갈령 티모르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포르투갈령 티모르 |
로마자 표기 | Timor Português |
일반 명칭 | 동티모르 |
소속 제국 | 포르투갈 |
식민지 상태 | 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 일본 제국 점령 (1942년–1945년) |
종교 | 가톨릭교 |
존속 기간 | 1702년–1942년, 1945년–1975년 |
성립 연도 | 1702년 |
성립 사건 | 식민지 설립 |
일본 점령 기간 | 1942년–1945년 |
독립 선언 | 프레틸린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 (1975년 11월 28일) |
멸망 연도 | 1975년 |
멸망 사건 | 인도네시아의 침공 (1975년 12월 7일) |
이후 사건 | 독립 달성 |
이후 날짜 | 2002년 5월 20일 |
이전 국가 | 식민지 이전의 티모르 |
후임 국가 | 동티모르 (1975년) 인도네시아 점령 동티모르 |
![]() | |
국가 | "애국 찬가" (1808–1826년) "헌장 찬가" (1826–1910년) "포르투갈인" (1910–1975년) |
수도 | 리파우 (1702–1769년) 딜리 (1769–1942년, 1945–1975년) |
공용어 | 테툼어 포르투갈어 말레이어 |
면적 | 14,874 km² |
통화 | 티모르 파타카 (PTP) 티모르 에스쿠도 (PTE) |
현재 국가 | 동티모르 |
정치 | |
국가 원수 | 국왕 포르투갈 대통령 |
초대 군주 | 페드루 2세 |
초대 군주 재임 기간 | 1702년–1706년 |
마지막 군주 | 마누엘 2세 |
마지막 군주 재임 기간 | 1908년–1910년 |
초대 대통령 | 테오필루 브라가 |
초대 대통령 재임 기간 | 1910년–1911년 |
마지막 대통령 | 프란시스쿠 다 코스타 고메스 (사실상) |
마지막 대통령 재임 기간 | 1974년–1975/1976년 |
총독 | 총독 |
초대 총독 | 안토니우 코엘류 게헤이루 |
초대 총독 재임 기간 | 1702년–1705년 |
마지막 총독 | 마리우 레무스 피레스 |
마지막 총독 재임 기간 | 1974년–1975년 |
2. 역사
1515년 포르투갈인들이 판트마카사르에 도착하면서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처음으로 발을 들여놓았다. 1556년 도미니코 수도회가 리파우 마을을 세웠고, 1702년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되었다. 주요 수출품은 백단향이었다.
1767년 티모르섬의 나머지 지역과 주변 섬들(현재의 인도네시아 영토)을 식민지로 삼고 있던 네덜란드의 공격을 받았고, 1769년 수도를 딜리로 옮겼다. 1859년 리스본 조약에 따라 포르투갈령 티모르와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경계선이 결정되었고, 1916년 헤이그에서 최종 확정되었다. 이 경계선은 현재 인도네시아와 동티모르의 국경선으로 남아 있다.
1974년 포르투갈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일어나면서 독립 협상이 시작되었다. 1975년 동티모르는 포르투갈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지만, 곧 인도네시아의 침공을 받았다. 2002년 5월 20일 동티모르는 공식적으로 독립했다.
2. 1. 초기 역사
1515년 포르투갈인들이 판트마카사르(Pante Macassar)에 처음 도착하여 백단향(침향) 무역을 시작했다.[4] 초기에는 무역에만 집중했다. 1556년 도미니코 수도회 수사들이 리파우(Lifau) 마을을 세웠으나,[6] 말라카와 고아의 지원 부족으로 포르투갈의 직접 통치는 미약했고, 도미니크 수도회 선교사들이 침향 무역을 통제했다.[8]도미니크 수도회 선교사들은 원주민 가톨릭 개종에 어려움을 겪었다. 현지 통치자들이 기독교인임을 선포했음에도, 기독교는 널리 퍼지지 않았고 개종은 형식적이었다.[9]
1702년 카에타누 드 멜루 이 카스트루 고아 부왕이 안토니우 코엘류 게레이루를 티모르와 솔로르 섬 및 남부 지역 총독 겸 사령관으로 임명하면서,[12] 도미니크 수도회의 자치권은 종식되었다.[8] 리파우는 소순다 열도 모든 포르투갈령의 수도가 되었으나, 포르투갈의 지배는 불안정했으며, 특히 산악 지대 내부는 더욱 그러했다.[3]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들, 네덜란드의 습격, 티모르인들이 포르투갈 상인들과 경쟁했고,[3] 식민지 행정관들은 딜리 지역에만 영향력을 행사하며 전통적인 부족장들에게 의존해야 했다.[3]
포르투갈은 백단향 무역 독점을 시도했으나, 토파스와의 긴장을 초래했다. 1718년 주지사와 주교 간 갈등이 발생했고, 일부 지역 왕국 지도자들은 카메나사 왕국에서 만나 반란을 일으켰다. 1726년 카이라쿠 전투가 벌어졌지만, 1728년까지 반란은 완전히 진압되지 않았다.[10]
포르투갈은 옥수수와 커피를 도입하고 조세 및 노동 통제 시스템을 유지했다. 티모르 공동체에 용병을 도입했고, 티모르 추장들은 이웃 부족과의 전쟁에 포르투갈 병사들을 고용했다. 포르투갈은 가톨릭 외에 라틴 문자 시스템, 인쇄술, 정규 교육도 도입했다.[11]
2. 2. 네덜란드와의 경쟁과 포르투갈령 티모르 확립
1556년 도미니코 수도회가 리파우 마을을 세웠고, 1702년 포르투갈은 안토니우 코엘류 게레이루를 총독으로 임명하여 리파우를 소순다 열도 포르투갈령의 수도로 삼았다.[12] 그러나 티모르, 특히 산악 지대에 대한 포르투갈의 지배력은 불안정했다.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들, 네덜란드의 간헐적인 습격, 티모르인들의 경쟁이 포르투갈 상인들에게 어려움을 주었다.[3] 현지 토파스 세력, 불안정한 속국 왕국들, 남 술라웨시의 고와 탈록 술탄국들도 혼란을 야기했다.[5] 식민지 행정관들은 주로 딜리 지역에 국한된 통제력을 행사했고, 영향력과 통제를 위해 전통적인 부족장들에게 의존해야 했다.[3]17세기 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는 티모르 섬 서부에 영향력을 확립하기 시작했다.[13] 1732년 마우바라 왕국은 VOC에 보호를 요청했지만, 실제로 합의가 이루어졌는지는 불분명하며 포르투갈에 계속 조공을 바쳤다. 1755년 네덜란드는 솔로르와 티모르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려 했고, 1756년 6월 마우바라를 포함한 77개 정치 단위 귀족들이 쿠팡에서 VOC 대표와 계약을 체결했다. VOC의 지원으로 건설된 포르투 마우바라는 포르투갈과의 마찰을 일으켰다. 1760년 포르투갈 동맹국들이 마우바라를 공격했지만, VOC의 지원을 받은 마우바라에 격퇴당했다.[13]
1766년 리파우에서 포르투갈 총독이 사망하고,[10] 토파스의 위협으로 인해 1769년 안토니오 조제 텔레시 드 메네세스 총독은 행정부를 동쪽의 모타엘 왕국으로 이동시켰다.[13] 같은 해, 딜리 시 건설은 섬 동부에서 최초로 효과적인 유럽인의 점령이었다.[14]
2. 3. 19세기 국경 획정과 식민 통치 강화
1767년 티모르섬의 나머지 부분과 주변 섬들(현재의 인도네시아 영토)을 식민지로 삼고 있던 네덜란드의 공격으로 1769년 수도를 딜리로 옮겼다.[3] 1859년 리스본 조약에 따라 포르투갈령 티모르와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공식적인 경계선이 결정되었고, 1916년 헤이그에서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3] 이 경계선은 현재의 인도네시아와 동티모르의 국경선으로 남아 있다.[3]1861년 딜리 동쪽과 서쪽에서 포르투갈 통치에 대한 반란이 일어났다.[13] 라클로(Laclo)와 울메라(Ulmera)의 군대가 딜리를 포위했지만, 포르투갈은 다른 왕국들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진압하는 데 성공했다.[10] 그 후 수년 동안 추가적인 군사 전투가 벌어졌고, 1888년 섬 동쪽의 13개 왕국이 포르투갈에 충성을 맹세했다.[10] 그러나 다른 지역 왕국들은 여전히 사실상 자치권을 유지했다.[10]
19세기 후반, 포르투갈은 식민 통치를 강화하고 경제 수탈을 가속화했다. 포르투갈인들에게 포르투갈령 티모르는 19세기 후반까지 방치된 무역 기지에 불과했다.[3] 인프라, 보건 및 교육에 대한 투자는 최소한이었다.[3] 백단향은 주요 수출 작물로 남아 있었고 커피 수출은 19세기 중반에 중요해졌다.[3] 포르투갈 통치가 주장된 곳에서는 잔혹하고 착취적인 경향이 있었다.[3]
조제 셀레스티누 다 실바(José Celestino da Silva) 총독은 1894년부터 식민지에 대한 "완전하고 효과적인 통제"를 확립하려 했다.[18] 그는 지역 왕국을 파괴하고, 인두세를 도입하고, 토지를 강제 수용하고, 원주민 문화를 탄압하는 등 강압적인 통치를 펼쳤다.[10][18][19]
2. 4. 20세기 초 식민 통치와 제2차 세계 대전
20세기 초, 포르투갈 본국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자 포르투갈은 식민지에서 더 많은 부를 착취하려 했고, 이는 포르투갈령 티모르에서 포르투갈 통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켰다.[15] 식민지 정책은 원주민 통치자들을 명목상의 지도자로 이용하는 방향으로 다시 바뀌었고, 때로는 더 협조적인 새로운 통치자를 임명하기도 했다.[18] 지역 관습을 억압하려는 노력은 역전되었고, 대신 그러한 관습을 이용하려는 의도를 보였다.[18]1910년 포르투갈 군주제 전복 소식은 사건 발생 3주 후 딜리에 전해졌다. 이 공화주의는 지역 통치자들을 우려하게 만들었고, 새롭고 높은 세금에 대한 기존의 긴장감을 더욱 고조시켰다. 여러 차례의 반란이 섬 전역에서 일어났고, 결국 식민지군과 지역 동맹군에 의해 진압되었다.[18] 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포르투갈은 모잠비크와 마카오의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군대를 파병했고, 이 전쟁에서 3,000명의 포르투갈 티모르인이 사망했다.[15] 1910년 10월 5일 혁명 이후 왕들의 권력은 더욱 약화되었는데, 많은 티모르 왕들이 군주제 지지자였기 때문이다. 왕들은 포르투갈을 대신하여 행정구역을 운영하는 역할로 전락했다.[19]
1926년 포르투갈 군사 쿠데타와 이후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의 등장으로 인종 범주가 완전히 성문화되어, 미개한 것으로 지정된 대다수의 원주민과 백인 정착민, 메스티소, 그리고 아시밀라두(문명화되고 동화된 것으로 간주되는 원주민)가 분리되었다.[18]
제2차 세계 대전 중 포르투갈은 중립을 지켰지만, 1941년 12월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해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네덜란드 군대가 포르투갈령 티모르를 점령했다. 1942년 2월 티모르 전투에서 일본군이 침략했다. 일본 점령 하에 네덜란드령과 포르투갈령의 경계는 무시되었고, 티모르 섬은 하나의 일본 제국 육군(IJA) 행정 구역이 되었다.[11] 일본군의 침략으로 섬에 고립된 400명의 오스트레일리아와 네덜란드 코만도 부대는 산악 지대에서 게릴라전을 벌였는데, 이는 티모르 전투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군을 묶어두고 1,0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다.[15] 티모르인들과 포르투갈인들은 게릴라들을 도왔지만, 연합군의 최종 철수 후 네덜란드령 티모르에서 결성된 일본군과 티모르 민병대(검은 기둥)의 보복이 심했다.[11] 전쟁이 끝날 무렵, 약 4만~6만 명의 티모르인들이 사망했고, 경제는 파탄났으며, 기근이 만연했다.[15][21] 일본 지배하에서 행정 구조가 변경되어 더 큰 구역(이전의 왕국)이 생기고 ''수쿠''의 수가 줄었다.[19]
2.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 투쟁과 인도네시아 병합
1974년 포르투갈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일어나면서 아시아와 아프리카 식민지들의 독립 과정이 가속화되었다.[22] 1959년 비케케 반란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포르투갈 지배에 대한 유일한 유혈 저항이었다.[23]1974년 4월, 포르투갈령 티모르에서 정당 설립이 처음으로 허용되면서 여러 정당이 등장했다. 주요 정당은 다음과 같다:
정당명 | 성향 및 목표 | 비고 |
---|---|---|
티모르 민주 연합(UDT) | 포르투갈 보호령 유지 → 1974년 9월 독립 지지 선언 | 기존 국민행동당, 농장주 중심 |
프레틸린(FRETILIN) | 노동조합원, 반식민주의자 중심, "사회주의의 보편적 교리"와 "독립권"[26] 지지, "유일한 합법적인 국민 대표" 자처[27] | |
아포데티(APODETI) | 인도네시아와의 통합 옹호, 독립 시 경제적 취약성 우려[29] | 아타사베 행정구 외부 지지 미약[23] |
기타 | 티모르 영웅 협회, 티모르 노동당 등 | 티모르 영웅 협회는 왕정주의, 티모르 노동당은 호주와의 연합 옹호[10][23] |
1974년 11월 14일, 마리우 레무스 피레스 육군 장교가 포르투갈령 티모르의 총독 겸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35]
정당 간 분쟁은 곧 무장 분쟁으로 이어졌다. 1975년 8월, UDT는 쿠데타를 일으켜 프레틸린 회원들을 체포했지만, 프레틸린은 8월 20일 반격하여 주요 지역을 장악했다.[18] 마리우 레무스 피레스 총독은 1975년 8월 말 딜리에서 철수하여 아타우로 섬으로 이동했고, 포르투갈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여 10월 초 군함 NRP ''아폰수 세르케이라''가 도착했다.
1975년 11월 28일, 프레틸린은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República Democrática de Timor-Leste)으로 일방적인 독립을 선포했다. 인도네시아의 지원을 받은 UDT와 APODETI는 인도네시아와의 통합을 선언했다.[10]
1975년 12월 7일, 인도네시아군이 동티모르를 침공했다. 마리우 레무스 피레스 총독과 참모들은 아타우로를 떠나 포르투갈 군함을 타고 오스트레일리아 다윈으로 피신했다. 포르투갈 군함 NRP ''주앙 로비''와 NRP ''아폰수 세르케이라''는 인도네시아 침공에 대응하기 위해 티모르 해역을 순찰했다. 1976년 1월, NRP ''올리베이라 이 카르무''가 도착하여 NRP ''아폰수 세르케이라''를 대체했고, 5월까지 임무를 수행했다.
1976년 7월 17일, 인도네시아는 동티모르를 강제 병합하여 27번째 주인 티모르 티무르 주로 선포했다. 그러나 국제 연합(UN)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국제법상 포르투갈이 여전히 합법적인 관리 권한을 가진 것으로 간주했다.
2. 6. 독립과 현재
1974년 포르투갈에서 카네이션 혁명이 일어나면서 독립 협상이 시작되었다.[22] 1975년 동티모르는 포르투갈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지만 얼마 안 되어 인도네시아의 침공을 받았다. 이후 2002년 5월 20일 공식적으로 독립하였다.[22]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포르투갈은 식민지를 되찾기 위해 즉시 돌아왔고, 네덜란드령 티모르는 1949년 인도네시아가 독립을 쟁취하면서 인도네시아령 티모르가 되었다(인도네시아 독립 전쟁).[22]
포르투갈은 루소트로피칼리즘 이데올로기 하에 티모르를 해외 속주로 선포하고 식민 지배를 유지하려 했다.[18] 교육, 인프라, 보건 분야에서 약간의 개발이 있었지만, 동시에 탄압도 강화되었다.[18] 탈식민화에 대한 국제적 압력과 포르투갈령 아프리카의 불안은 포르투갈령 티모르 내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지역 왕국과의 정체성이 유지되었다.[18]
1959년 비케케 반란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포르투갈 지배에 대한 유일한 유혈 저항이었다.[23]
식민 행정관들은 경제 재건을 위해 지역 수장들에게 노동력을 제공하도록 강요했고, 이는 농업 부문을 더욱 훼손시켰다.[15] 정부는 커피 수출을 장려했지만, 경제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고 인프라 개선도 제한적이었다.[6] 경제 성장률은 2%에 가까운 저조한 수준을 유지했다.[24] 1941년 포르투갈 정부가 티모르인의 교육을 교회에 넘겨준 이후 포르투갈령 티모르에서 가톨릭 교회의 역할이 커졌다.[15] 전후 포르투갈령 티모르에서는 초등 및 중등 교육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매우 낮은 수준에서 시작되었다.[15]
1973년 문맹률은 인구의 93%로 추산되었지만,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교회가 배출한 소수의 교육받은 포르투갈계 티모르 엘리트들이 인도네시아 점령 기간 동안 독립 지도자가 되었다.[15] 포르투갈은 통치 말기에 동티모르에 연간 약 500만달러를 지원했다.[23]
3. 통화
최초의 동티모르 통화는 1894년에 도입된 포르투갈령 티모르 파타카였다.
1959년부터는 포르투갈 에스쿠도에 연동된 포르투갈령 티모르 에스쿠도가 사용되었다.
1975년 동티모르가 인도네시아에 병합되면서 인도네시아 루피아를 사용하기 시작함에 따라 해당 통화는 사라졌다.[30][31]
참조
[1]
서적
unspecified
[2]
간행물
Portuguese Timor: A Rough Island Story, 1515-1960
1960-05
[3]
서적
unspecified
[4]
웹사이트
East and Southeast Asia 2012
https://archive.org/[...]
Stryker Post
[5]
학술지
Subordinating Timor: Central authority and the origins of communal identities in East Timor
2010
[6]
서적
The Creation of the East Timorese Economy: Volume 1: History of a Colon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2-10-23
[7]
서적
Culture and Identity in the Luso-Asian World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22-10-23
[8]
학술지
The Vanishing Sandalwood of Portuguese Timor
https://www.cambridg[...]
2022-10-23
[9]
서적
Justice and Governance in East Timor Indigenous Approaches and the 'New Subsistence State
Taylor and Francis
2013
[10]
서적
Divided Loyalties: Displacement, belonging and citizenship among East Timorese in West Timor
https://press-files.[...]
ANU Press
2022-10-26
[11]
서적
unspecified
[12]
웹사이트
Gunn (1999), Timor Lorosae: 500 years (Macau: Livros do Oriente), p.80.
https://web.archive.[...]
2009-04-25
[13]
서적
Three Centuries of Conflict in East Timor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22-10-20
[14]
웹사이트
The Portuguese Colonization and the Problem of East Timorese Nationalism
https://web.archive.[...]
[15]
서적
unspecified
[16]
서적
Internationa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7]
서적
The International Boundaries of East Timor
[18]
서적
Three Centuries of Conflict in East Timor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22-10-20
[19]
서적
Rural–Urban Dichotomies and Spatial Development in Asia
2021-07-02
[20]
서적
The Encyclopedia of Indonesia in the Pacific War
[21]
문서
Goto
[22]
웹사이트
Flags of the World
https://www.fotw.inf[...]
2022-03-04
[23]
학술지
East Timor: Civil War — Causes and Consequences
https://www.jstor.or[...]
ISEAS - Yusof Ishak Institute
[24]
웹사이트
About Timor-Leste > Brief History of Timor-Leste: A History
https://web.archive.[...]
[25]
서적
unspecified
[26]
서적
unspecified
[27]
서적
unspecified
[28]
서적
unspecified
[29]
서적
unspecified
[30]
웹사이트
History of Timor
http://pascal.iseg.u[...]
[31]
서적
A Nation in Waiting: Indonesia in the 1990s
Westview Press
[32]
서적
戦時下の日本外交
国民政治経済研究所
[33]
웹사이트
『日本外交文書』特集「太平洋戦争」(全3冊)
日本外務省
[34]
서적
戦史叢書第3巻「蘭印攻略作戦」
https://www.nids.mod[...]
朝雲出版社
1967
[35]
웹사이트
東ティモール民主共和国公式サイト 首相紹介
http://www.gov.east-[...]
2012-07-17
[36]
문서
설립 연도에 대한 논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